요새 물 사고가 많으니...
별에 별 법이 다 나오고 있습니다.
며칠전 인터넷에서 퍼온 글인데요...
유튜브 영상도 넘치게 나와 있더라구요... 생존 수영법?!
그런데, 제 생각은,다름니다. 웃기는 이야기가 절반은 넘더라구요.
어려서 부터 물과 친해 져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수영은 기본 , 바다,강,
가리지 말고 다닐것, 물에 들어가 보고(수상 레져/수상스포츠), 경험 해야 만이
물의 공포로 부터,담대 해 지며,
사고 시 본능적으로 반응을 하게 됩니다.
살아 남을 확률이 높다는 거지요.
물에 빠졌을 때 생명 지키는 생존수영법
생존수영은 수영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이 물에 빠졌을 때 숨을 쉴 수 있는 상태를 확보하고 부력만으로 물 위에 떠 있는 수영법을 말한다. 수영을 잘하는 사람이라도 구조될 때까지 체력을 비축할 수 있도록 생존수영법을 익혀둘 필요가 있다.
물에 빠지는 갑작스러운 상황에선 팔과 다리를 휘두르면서 무턱대고 허우적거릴 수 있다. 이러면 물에 더 깊이 들어가거나 물도 많이 먹어 호흡이 어려워지고 정신을 잃게 된다. 이럴 때는 당황하지 않고 몸부림치는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미리 익혀둔 생존수영법을 실행하면 소중한 자신의 생명을 스스로 지켜낼 수 있다.
실제로 2년 전 인천 모 해수욕장에서 한 10대 소년이 물놀이를 하다 바다에 빠졌지만, 구조될 때까지 30분간 누워뜨기 자세로 버텨 무사히 구조된 적이 있다. 해변에서 800m나 떨어진 바다 한복판으로 떠밀렸지만, 평소 익혀둔 생존수영법으로 무사히 가족의 품에 안길 수 있었던 것이다.
생존수영법 - (1) 누워 뜨기
- 숨을 크게 들이마신 뒤 차렷 자세를 취하면서 얼굴을 먼저 물 위에 띄운다. 허우적거리는 행동은 몸을 물에 더 깊이 빠지게 할 수 있으므로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호흡을 확보해야 한다.
- 머리는 바로 누운 상태에서 이마와 턱을 기울여 시선이 하늘로 향하게 한다. 이때 귀가 물에 잠기는 것이 정상이다.
- 물 위에 누운 상태에서 천천히 양팔을 만세 부르듯이 머리 위로 뻗어 넓게 벌려준다.
- 얼굴, 팔, 가슴이 물 위에 뜨면 무릎을 천천히 굽혀 엉덩이를 살짝 낮춰주면서 무릎과 다리를 물 위에 뜨게 한다.
- 이때 양다리 역시 붙이지 말고 넓게 벌려준다. 한자의 대(大)자 모양으로 팔과 다리를 넓게 벌려주는 것은 몸의 면적을 확장해 부력의 힘을 최대한으로 받기 위한 것이다.
- 양발 끝을 수면 위로 최대한 가깝게 유지한다. 다리가 가라앉으려고 하면 발바닥으로 물을 살짝 눌러준다.
- 폐에 공기를 채워 몸이 효과적으로 뜨도록 해야 하므로 호흡을 완전히 내뱉지 말고 가슴에 호흡을 조금 머금어 두는 방식으로 호흡을 한다.
생존수영법 - (2) 엎드려 뜨기
- 엎드린 자세에서 누워뜨기와 마찬가지로 양팔과 양다리를 넓게 벌려 부력을 높인다.
- 다리가 가라앉으려고 하면 발등으로 물을 살짝 눌러주는 방식으로 몸을 띄운다.
생존수영법 - (3) 새우등 뜨기
새우등 뜨기는 몸에 힘을 빼고 있으면 물에 뜰 수 있으므로 몸을 웅크려 물에 빠지지 않게 하여 호흡을 유지하고, 체온을 유지하는 생존수영법이다.
- 손으로 무릎을 끌어안고 최대한 웅크린 자세로 몸을 말아 바닥을 보는 자세로 몸을 띄운다.
생존수영법 - (4) 보빙(bobbing)
보빙은 2m 정도 깊이의 물에서 쓸 수 있는 생존수영법으로, 호흡을 유지하기 위해 몸을 수직으로 세우고 물 바닥까지 내려갔다가 올라오기를 반복한다.
- 물속에서 선 자세에서 힘을 빼고 숨을 뱉으면서 바닥으로 내려가고, 바닥에 닿으면 발로 바닥을 힘껏 차고 올라가 수면 위로 다시 돌아가기를 반복한다.
생존수영을 할 때의 기본 호흡법은 물 속에서는 코로 숨을 내뱉고 물 밖에서는 입으로 숨을 들이마시는 ‘음파’ 호흡법이다.
출처: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466129
'골방문화학교 건강교실 > 예체능_A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관과 공연 기술 (0) | 2018.12.12 |
---|---|
운동 초보자에게 좋은 근력 운동 4 (0) | 2018.11.17 |
건초염(腱鞘炎)을 물리친 베이시스트 레이파크 (뉴욕) (0) | 2018.05.19 |
땅에 맡겨라! 그라운딩 or 접지( 接地) (0) | 2018.04.14 |
스키 선수의 축 (0) | 2018.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