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_세상을 담다

시래기 된장국,강화 도령(철종)도 잊지 못하던. . . . . .

Goal문 2019. 9. 20. 20:49




조선왕조 제 25대 왕(재위 1849~1863). 1844년 가족과 함께 강화에 유배되었다가 1849년 궁중에 들어와 헌종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1852년부터 친정을 시작했으나 정치에 어둡고 외척인 안동 김씨 일파의 전횡으로 삼정의 문란이 극에 달했다.

<


`시래기`를 흔히 `우거지`라고도 하는데 우리말 사전에 우거지는 "푸성귀를 다듬을 때 골라 놓은 겉내나 떡잎"이고, 시래기는 "배춧잎이나 무청을 말린 것으로 흔히 푸른 무청을 새끼 따위로 엮어 말린 것"이라고 나와 있다.

조선시대 철종은 어릴 때 강화도 산골에서 나무 하고 꼴 베는 초동이었다.


이 강화도령이 어느날 좋은 산래진미도 도무지 입에 맞지 않았고 오직 어릴 때 먹던 시래기국과 막걸리 생각만 간절하여 구해 오라고 명을 내렸다. 이리저리 수소문하여 막걸리는 이문(里門)안에서 구해 왔지만 시래국은 도저히 구할 수가 없어 하는 수 없이 외가인 강화도의 곽씨 댁에서 시래기국을 구하여 아침 저녁 수라상에 올렸다고 한다.


김장을 많이 하던 시절에는 김장을 하면서 남은 배추 겉대와 무청을 새끼로 엮어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처마 밑에 매달아 말렸다. 채소가 귀한 겨울철 내내 요긴하게 쓰이는 시래기는, 사용하려면 먼저 하루쯤 뜨물에 불렸다가 헹구어 된장국이나 찌개의 건지로 넣거나 볶아서 나물을 만든다. 특히 정월 대보름에는 묵은 나물 아흡 가지를 마련하는데 시래기는 꼭 들어가며, 맛도 으뜸이다. 나이 많은 어른들은 가끔 어렵게 살던 시절을 떠올릴 때면 "그 때는 시래기죽도 변변히 얻어먹지 못했다"고 말하곤 한다. 먹을 것이 변변치 않아 죽을 끊어야 하는데 넣을 것이 업어 흔한 시래기를 넣을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음료 중에 식이 섬유를 넣은 `화이버`라는 말이 붙은 것이 잇다. 수용성 식물 섬유가 들어 있어 열량은 없으면서도 신체의 생기 조절 기능을 도와 준다. 하지만 우리 조상들은 이민 오래전부터 충분히 섬유소를 섭취해 왔다. 나물이나 푸성귀는 물론이고 김치를 충분히 섭취하기 때문에 장내에서 소화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져 소화 장애가 생기는 일이 거의 없었다.


그런데 요즘 김치와 채소를 잘 먹지 않는 젊은 사람들은 섬유소 섭취가 부족하여 변비나 소화 장애로 고생하는 이가 많다. 섬유 음료나 약으로 해결하는 것보다는 김치나 나물 등 우리 음식을 많이 먹어 섬유소를 보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퍼온글: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중에서----

 




기온이 떨어지면서 더욱 그리워 지는 우리 음식, 시래기 된장국




'사진_세상을 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홍문의 빛  (0) 2019.10.04
10월 에는 무얼 하나  (0) 2019.09.29
사마귀 구름  (0) 2019.08.13
야행, 불국토 가는길  (0) 2019.08.05
사랑 찾는 사랑   (0) 2019.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