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우린 왜 '위선자'에 분노할까…

Goal문 2019. 9. 2. 18:43



2017년 예일대 연구 결과, 학술지 '심리과학' 게재


우리는 흔히 겉으로만 착한 척, 도덕적인 척 위장하고 사실 그렇지 않은 사람을 '위선자'(僞善者·hypocrite)라고 부른다. 흠이 없는 사람은 없지만 믿었던 사람이 위선자라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때 누구나 배신감을 느끼고 위선자를 부정적으로 느끼기 마련이다.

 

사람들이 '위선'의 어떤 부분을 문제라고 생각하고 왜 부정적으로 생각할까.

 

데이비드 랜드 예일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7년 국제학술지 '심리과학지'(Psychological Science)에 사람들은 거짓말을 하는 사람보다 위선적인 사람에게 더 거부감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위선자들은 특정한 비난을 발언할 때 자신들이 도덕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암시하는데 이는 직접적으로 자신이 도덕적인 행동을 한다고 얘기하는 것보다 더 설득력이 있다"면서 "위선자들이 옳은 일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거부감을 느끼는 게 아니라 본인을 포장했기 때문에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를테면 A가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면서 B에게 에너지 절약이나, 재활용을 강요했다. 그러다 A가 이 같은 실천을 하지 않는 '위선자'라는 것이 밝혀졌다. 그렇다면 B를 포함한 사람들은 A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된다.

 

사실 A가 다른 사람에게 어떠한 행동을 강요하는 것과 자신이 그 행동을 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논리적인 연관성은 전혀 없지만, 사람들이 A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이유는 그가 도덕적인 사람으로 위장했기 때문이라고 연구진들은 본다. 특히 사람들은 위선자를 거짓말쟁이보다 더 심한 거짓말쟁이로 생각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위선자 A에게 분노하는 이유는 그가 원칙을 지키지 않아서가 아니라 A가 원칙을 주장함으로써 자신이 도덕적인 사람으로 위장했기 때문"이라면서 "도덕적 비난이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을 비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명성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또 위선자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위선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위선자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를테면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옳지 않지만 나도 매번 에너지를 절약하는 게 아니야"라고 말하는 사람을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옳지 않아"라고 말하는 사람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것.

 

연구팀은 "위선자인 사람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 때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좋아지는 이유는 사람들이 위선자를 싫어하는 것이 잘못된 위장 때문이라는 이론에 정확하게 맞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출처:http://www.news1.kr/articles/?3708444